대한민국MZ 만제

[스마트스토어 카테고리 상품 분석 1] 팔리는 상품을 찾는 방법! 스마트스토어 포화 분포 파악하고 시장의 흐름 읽는 법 (만제 카테고리 측정 무료 나눔) 본문

MZ세대, 돈버는 방법/빅파워, 스마트스토어 전략법

[스마트스토어 카테고리 상품 분석 1] 팔리는 상품을 찾는 방법! 스마트스토어 포화 분포 파악하고 시장의 흐름 읽는 법 (만제 카테고리 측정 무료 나눔)

대한민국 만제 2021. 8. 7. 17:19
728x90
반응형

  대한민국 만제!

  대한민국 MZ세대 돈버는 방법의 만제입니다.

 

  2020년 코로나가 고용 시장을 얼어 붙게 만들었죠. 하지만 창업기업은 전년 대비 13.3%가 증가했다고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했습니다. 취업이 어려워 생계가 흔들렸던 사람들이 돌파구로 창업을 선택한 것입니다. 과거 직장인들이 목돈으로 치킨집 창업을 했다면, 오늘날의 대세는 쇼핑몰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워낙 창업에 대한 정보가 많고, 영향력있는 유투버 분들이 스마트스토어나 쇼핑몰 부업에 관한 이야기를 언급했기 때문에 온라인 쇼핑몰의 진입장벽이 낮아진 것입니다. 그 뿐만이 아니라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쇼핑 수요가 급격히 늘어난 것도 한 몫 하겠습니다.

 

팔리는 상품 VS 좋아하는 상품

  온라인 쇼핑몰 시장은 굉장히 과포화 상태인 것처럼 보입니다. 안 파는 상품이 없죠. 쇼핑몰을 무작정 개설하신 분들은 카테고리를 정하는 것부터 난관이실 겁니다. 이미 많은 셀러들이 도매매, 오너클랜에 있는 상품을 판매하고 있기 때문이죠. 판매 상품 카테고리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할 것은, 팔리는 상품이냐, 내가 좋아하고 관심있는 상품이냐 입니다.

 

  팔리는 상품이란? 스마트스토어 내 경쟁강도가 비교적 적고, 판매 흐름이 상승 곡선을 타고 있는 카테고리를 말합니다. 수요가 상품보다 많으면, 이곳은 레드오션이죠. 카테고리 분석과 키워드 분석을 통해 비교적 경쟁 강도가 낮은 카테고리에 진입한 후, 타 쇼핑몰과 차별화 작업을 통해 팔리는 상품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내가 잘 알지 못하는 분야이다보니, 그만큼 노력과 시간이 더욱 많이 들어가는 것이 사실입니다.

 

728x90

 

  좋아하는 상품? 내가 준 전문가 정도로 잘 알고 있는 상품을 판매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사진작가 분이라면, 도매에서 가져온 상품 그대로 툭, 내놓는 것보다, 장비의 사용 설명과 직접 시연하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고객을 설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신의 커뮤니티를 통해 마케팅이 가능하니 처음부터 경쟁력을 안고 가시는 겁니다.

  하지만 카테고리 경쟁률이 너무 높은 경우는, 첫 페이지에 진입하는 것 조차 어려울 수 있습니다. 보통 마니아/단골 고객을 확보 한 후, 판매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유형입니다.

 

  팔리는 상품과 좋아하는 상품 중,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는 자신의 성향과 상황을 고려해 결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정말 생계를 위해 뼈를 갈아 판매를 일으키겠다! 하시는 분들은 팔리는 상품을, 부업으로 소소하게 즐기며 치킨 값 벌겠다 하시는 사장님은 좋아하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스트레스도 적고, 지속가능성이 높습니다.

 

팔리는 상품 찾기

  장사의 기본은 수요과 공급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수요가 많은 시장에 뛰어들어, 내가 가진 위험 요소들을 제거해 나감으로써 수익 창출을 극대화 시키는 것입니다. 스마트스토어 역시 '시장'이기 때문에 시장의 원칙을 벗어나지 못합니다. '수요와 공급' '위험 요소 제거'의 원칙을 생각하며, 팔리는 상품을 찾아보겠습니다.

 

팔리는 상품을 찾기 위한 단계

1.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카테고리 경쟁도 측정
2. 카테고리 내부 위험 요소 분석
3. 카테고리 외부 위험 요소 분석
4. 마진율 파악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카테고리 경쟁도 측정 방법

  전체 경쟁 카테고리 분석 데이터가 필요하신 분은 비밀 댓글로 이메일 주소 알려주시면 보내드리겠습니다! 하지만 세부 카테고리의 경쟁강도 역시 측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분류/세분류의 경쟁강도를 측정하고자 하시면 아래 만제 카테고리 측정법을 따라 경쟁강도를 파악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시장의 수요 공급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네이버에서 이 데이터를 제공해주지 않아서, 수작업으로 카테고리 수요 / 공급을 파악해 계산해 줘야하니, 잘 따라오시길 바랍니다.

 

  첫째로,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네이버 데이터랩->쇼핑인사이트] 에서 카테고리별 클릭자수를 조회해야 합니다.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 쇼핑 분야 트렌드 비교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본 데이터는 네이버에서 측정하는 값으로 정확도가 높습니다. 카테고리별 클릭량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즉 수요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분야1과 분야2를 기준 데이터로 고정해 놓고 카테고리 별 수요량을 측정해 보겠습니다. 분야1과 분야2를 가장 높은 클릭률로 고정해놓아야 합니다. 

 

  분야1과 분야2는 2021년 8월 기준 [분야1: 디지털/가전] [분야2: 생활/건강]으로 고정하겠습니다. 기간을 월간 / 1년을 선택해 주신 후, 조회하기를 클릭해주세요.

 

  분야3 카테고리를 차례대로 바꿔가며 엑셀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조회결과 오른편에 [조회결과 다운로드]를 클릭하시면 본 데이터를 엑셀값으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E열부터는 분야3의 카테고리를 변경해 변경 값만 붙여넣기를 해서 데이터를 유용하게 가공해보겠습니다.

  분야3을 다음 카테고리인 패션 잡화로 바꿔준 후, 조회하기 -> 엑셀다운로드를 눌러 '패션 잡화'의 값만 복사 -> 첫번째 엑셀에 붙여넣기

 

  

  보시면 분야1/분야2의 고정값은 변하지 않고 분야3의 클릭량만 변동되는 것이 보입니다. 이런 식으로 분야3의 카테고리만 바꿔가며 기존 첫번째 엑셀에 이어서 붙어넣기를 해주세요.

 

  위의 엑셀이 대분류 카테고리의 클릭비율 입니다. 1년간의 클릭량을 월별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월별 값을 모두 더해 클릭량 합계를 계산해줍니다. 어느 카테고리의 수요가 가장 많나요? 생활/건강 카테고리가 1023 비율로 가장 많은 수요를 보유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저 가테고리에 셀러들 즉, 공급량이 얼마나 많은가를 파악해야 합니다. [네이버 쇼핑]에서 카테고리 전체 상품 수를 파악해야 합니다.

 

 

  네이버 쇼핑에서 카테고리를 선택해주세요. 이때 대분류가 선택되지 않기때문에 중분류를 선택 한 후, 세부 페이지에서 오른쪽 하단에 선택된 중분류 카테고리 X를 눌러 삭제해줘야 합니다.

 

  온전히 대분류 카테고리인 [패션의류]의 상품 수만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전체 상품이 152,173,249 개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내가 경쟁하게 될 상품의 수가 정말 어마어마하죠! 이 데이터는 공급을 의미하므로 수요량을 구했던 엑셀에 입력해줍니다.

 

 

  모든 카테고리를 위와 같은 방식으로 검색해서, 전체 상품의 계를 구했습니다. 수요와 공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도에 왔습니다. 경쟁 강도를 구하기 위해서 수요를 공급으로 나눠주면 되겠습니다. 수요를 공급으로 나눠줬기 때문에 경쟁강도의 숫자가 클수록, 카테고리 내 경쟁강도가 낮으며 진입하기 좋은 카테고리구나, 라고 추정할 수 있습니다.

 

  2021년 8월 기준, 대분류 카테고리에서 경쟁강도가 가장 낮은 카테고리는 [식품]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데이터만 보고 '식품'을 팔아야겠다! 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입니다! 식품에서도 세부 카테고리가 매우 많기 때문에, 세부 카테고리도 만제 카테고리 측정법으로 측정 하신 후, 외/내부적인 요소를 고려해 진입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체 카테고리 경쟁강도를 측정한 값을 원하시는 분들은 비밀 댓글로 메일 주소 알려주시면 무료로 전송해드겠습니다!

 

  이어지는 글에서는 팔리는 상품을 찾기 위한 단계 2, 3: 카테고리별 내/외부 위험요소를 분석하는 방법을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는 좋아요!

  만제는 더 좋은 쇼핑몰 전략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전체 경쟁 카테고리 분석 데이터가 필요하신 분은 비밀 댓글로 이메일 주소 알려주시면 보내드리겠습니다!

 

  ®대한민국 MZ세대 돈버는 방법, 대한민국 만제

728x90
반응형
Comments